블록체인 벤처캐피털(VC) 해시드가 새로운 법인을 세우고 국내 금융 시장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기 위한 사업화 준비에 들어갔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해시드는 이달 초 ‘해시드오픈파이낸스’를 신설했다. 자본금은 10억 원이다. 사무실은 해시드 본사가 있는 서울 강남구에 자리 잡았다. 해시드오픈파이낸스는 스테이블코인과 실물연계자산(RWA), 토큰증권발행(STO) 등의 사업을 준비하기 위해 설립됐다.
법인 대표는 해시드 자회사 샤드랩을 이끌고 있는 김호진 대표가 겸임한다. 샤드랩은 블록체인 기반 기술 연구와 웹3 생태계 조성을 맡고 있다. 해시드 창업자 김서준 대표는 기타비상무이사로 참여한다.
이번 행보는 국내 가상자산 정책 변화에 따른 사업 기회를 겨냥한 조치로 풀이된다. 새 정부는 스테이블코인을 금융 혁신 수단으로 보고 제도권 내 관리·육성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올해 여야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을 앞다퉈 내놨다. 금융위원회도 발행자 준비자산 관리 의무, 이용자 상환 청구권 보장 등을 포함하는 2단계 입법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STO 제도화도 추진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부동산과 미술품 같은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 증권으로 발행할 수 있도록 법안을 마련 중이다.
해시드오픈파이낸스는 기술과 규제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중간 다리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스테이블코인·RWA·STO 관련 솔루션을 개발해 금융사와 기업에 제공하고, 정부·당국의 정책 논의 과정에서 컨설팅 기능을 수행할 가능성도 있다.
해시드 관계자는 “해시드오픈파이낸스는 블록체인 기반 금융 시장에 대비해 연구개발(R&D)과 사업화를 준비하는 자회사”라며 “해시드오픈리서치에서 나온 연구 성과를 토대로 기술적·사업적 확장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도예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