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코드로 움직이는 돈”···트래블월렛, 스테이블코인으로 금융 자동화

에스크로·정산 등 반복 자금 흐름 자동화 추진

스마트 계약 내장한 스테이블코인 시스템 설계

아발란체와 손잡고 기업용 결제망 공동 개발

김형우 트래블월렛 대표가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스테이블코인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트래블월렛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돈’과 ‘데이터’의 흐름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게 됐습니다. 코딩만으로 자금 이동을 자동화하는 시대가 열린 셈이죠.”

김형우 트래블월렛 대표는 지난달 30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스마트 계약이 내장된 스테이블코인이 기업간거래(B2B) 금융구조를 바꿀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트래블월렛은 외환 기반 결제 서비스를 시작으로, 환전·송금·결제 전반을 디지털화한 핀테크 플랫폼이다. 2020년 비자와 파트너십을 맺고 국내 최초 외화 기반 선불 트래블카드를 출시했다. 최근에는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면 자금이 자동으로 이동하는 ‘프로그래머블 스테이블코인’ 구조를 활용해 에스크로·정산 등 반복 업무의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 계약은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도록 설계된 블록체인 기술이다. 자판기에 돈을 넣고 버튼을 누르면 음료가 나오는 것처럼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는 구조다. 스테이블코인을 단순한 결제 수단으로 보는 시각이 많은 가운데 트래블월렛은 블록체인의 자동화 기능에 주목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에스크로’ 기능이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는 소비자가 물건을 주문하고 결제를 마치면, 제3자인 에스크로 사업자가 대금을 보관한다. 이후 물품 수령이 확인되면 사업자에게 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기업간 외상거래에서도 활용되는 에스크로는 대금의 보관·지급을 수작업으로 처리한다는 특성상 중개 수수료와 업무 비용이 뒤따른다. 김 대표는 “스마트 계약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면 이러한 흐름 전체를 자동화할 수 있다”며 “사람이 개입하던 금융 백오피스 구조를 코드로 대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래블월렛은 최근 글로벌 블록체인 플랫폼 아발란체와 전략적 업무 협약(MOU)을 맺고,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및 프로그래머블 스테이블코인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김 대표는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권 등 다수 금융사에 B2B 솔루션을 제공한 경험을 토대로 스테이블코인 기반 금융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해 금융계의 ‘팔란티어’가 되겠다”고 말했다.

팔란티어는 정부와 대기업의 내부 데이터를 구조화해 업무 흐름을 분석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미국의 기술 기업이다. 트래블월렛은 이처럼 각 금융사의 정산·지급·계약 흐름을 블록체인 상의 코드로 전환해 기업별 맞춤형 자금 자동화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트래블월렛은 향후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면 자사 전체 서비스 구조에 스테이블코인을 전면 도입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사용자는 스테이블코인을 인식하지 않아도 기존처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할 것”이라면서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을 자동으로 연결하고, 타사에서 발행한 스테이블코인도 지원할 수 있는 디지털 월렛과 결제 플랫폼으로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도예리 기자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