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에서 최근 은행의 잇따른 몰락은 불안정한 암호화폐 취급이 원인이라 지적하며 ‘마리화나 산업’에 비유했다.
16일(현지 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마이클 베넷 상원 의원은 “금융권은 마리화나 산업보다 더 불안정한 암호화폐 산업을 수용했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마리화나는 담배 형태로 흡연이 가능한 마약의 한 종류다. 즉 암호화폐를 마약보다 더 불안정한 산업이라 칭하며 그러한 수준의 생태계를 금융권이 왜 수용하느냐는 의미로 풀이된다. 규모와는 무관하게 일반 은행에서 암호화폐를 다루는 행위 자체에 비관적인 모습이다.
은행만큼 예금자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최근 파산한 시그니처뱅크의 경우 예금의 20%가 암호화폐다. 베넷 의원은 “20%라는 수치는 자산 가치가 치솟았다가 폭락하기를 멋대로 반복하는 암호화폐의 위험성을 아무도 인지하지 못했다는 증거”라며 “은행의 암호화폐 투자가 예금자에게도 이로운 일인지 재고해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시그니처뱅크뿐만 아니라 실리콘밸리은행, 실버게이트 은행 등 거대 은행들이 단기간에 줄줄이 폐쇄한 것을 두고만 봐서는 안 된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은행 위기와 암호화폐 기업 간 연관성, 추후 암호화폐가 금융 시스템에 미칠 영향 등을 복합적으로 논의해봐야 한다는 말이다. 일각에서는 암호화폐 규제 감독이 강화되며 암호화폐 기업을 은행권에서 배제하는 ‘탈은행화’가 이뤄질 경우 발생할 부작용도 간과하지 못함을 강조했다.
- 김지현 기자




!['스테이블코인 특화' 플라즈마, 한 달 만에 TVL 7위로 '껑충' [도예리의 디파이 레이더]](https://newsimg.sedaily.com/2025/10/24/2GZAWNG55J_1_s.jpg)
![美 증시 강세에 가상화폐 상승세…자오청펑 사면에 BNB 급등 [디센터 시황]](https://newsimg.sedaily.com/2025/10/24/2GZAWNKYA7_1_s.jpg)
![타이거리서치 "비트코인 20만 달러 간다…기관 유입 지속" [코주부]](https://newsimg.sedaily.com/2025/10/24/2GZAW5F8DK_1_s.jpeg)

![美 규제 족쇄 풀린 바이낸스 자오창펑…BNB 5% '급등' [코인리포트]](https://newsimg.sedaily.com/2025/10/24/2GZAVZM4QG_1_s.jpeg)

![[코인 리포트] ‘검은 금요일'에 시총 판도 재편…"XRP, 강세 모멘텀 종료"](https://newsimg.sedaily.com/2025/10/17/2GZ7PSO6R6_1_s.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