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가상자산 대통령’ 자처한 트럼프···취임 100일 만에 700조 증발

고율관세로 위험자산 회피 심리 자극

美 채굴 업계, 장비 수입 부담 직격탄

밈코인 사익 챙기며 산업 이미지 후퇴

"산업에 필요한 입법 논의 더 어려워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 시간) 미시간주 머콤카운티에서 열린 취임 100일 집회에서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있다. AP연합뉴스


‘가상자산 대통령’을 자처했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100일 만에, 시장 시가총액이 700조 원 넘게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선 당시 내세운 친(親)가상자산 기조와는 달리 고율 관세와 윤리 논란 등이 시장을 흔들었다는 분석이다.

30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30분 기준 가상자산 시장 시가총액은 2조 9700억 달러(약 4227조 2010억 원)로 집계됐다. 트럼프가 취임한 1월 20일 기록한 약 3조 4900억 달러(약 4965조 5720억 원) 대비 5200억 달러(약 739조 8560억 원) 가량 쪼그라든 규모다. 비트코인(BTC) 가격도 같은 기간 10만 달러에서 9만 4000달러 수준으로 후퇴했다.



시장 위축 배경으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꼽힌다. 2일 발표된 고율 관세 방침은 글로벌 무역 전쟁 우려를 자극하며 위험자산 회피 심리를 키웠다. 특히 글로벌 BTC 채굴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던 미국 채굴 업계도 직격탄을 맞았다. 트럼프 정부가 태국(36%)과 인도네시아(32%), 말레이시아(24%) 등 주요 채굴기 제조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장비 수입 부담이 급증한 탓이다.

현재는 중국 외 국가에 부과한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일괄 10%로 조정했지만 업계 부담은 여전하다. BTC 채굴 기업 해시랩스의 자란 멜러루드 최고경영자(CEO)는 “10% 관세는 초기 계획된 고율 관세보다는 훨씬 낮지만 미국 채굴 업체들은 장비 구매에서 여전히 불리하다”며 “비용 부담 증가로 신규 투자의 장기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내 BTC 채굴을 적극 장려하겠다던 트럼프 공약과는 반대되는 상황이다.

가상자산 산업 전반의 신뢰도 역시 흔들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자신의 이름을 딴 밈코인 오피셜트럼프(TRUMP)를 직접 발행하고 이를 통해 사익을 챙기고 있다는 논란이 불거지면서다. 최근 해당 프로젝트는 TRUMP 보유자 상위 25명을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찬 및 백악관 투어에 초청하겠다고 밝혔다. 이 발표 직후 TRUMP 가격은 급등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거래량이 폭증한 이틀 동안 프로젝트 내부자들이 거래 수수료로만 약 90만 달러(약 12억 원)를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트럼프 그룹 계열사 CIC 디지털이 탈중앙화금융(DeFi·디파이) 프로토콜 ‘메테오라’에서 유동성 풀을 제공하며 얻은 수수료 수입이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거세다. 존 오소프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은 “TRUMP 보유자를 초청하는 행위는 탄핵 사유”라며 “대통령이 돈을 받고 접근권을 판매한 셈”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현재 TRUMP에 대한 정부 차원의 윤리 조사 요구도 제기된 상태다.

트럼프 리스크로 불리는 정책 혼선과 이해충돌 논란은 미국 내 제도 논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상·하원에서는 각각 지니어스(GENIUS) 법안과 스테이블(STABLE) 법안이 논의 중이다. 두 법안은 그간 모호했던 스테이블코인 규제체계를 정립해 제도권 편입을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앤서니 스카라무치 스카이브릿지캐피털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사안을 정치화하면서 오히려 산업에 필요한 입법 논의가 더 어려워졌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김정우 기자
woo@sedaily.com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