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NFT와 TCG는 찰떡궁합···블록체인 버전 '하스스톤'에 도전하는 게임사들

게임업계 "TCG와 블록체인 잘 어울린다"

NFT 활용하면 카드 고유 가치 부여할 수 있어

"블록체인 게임 e-sports 산업도 더욱 커질 것"

‘매직 더 게더링’에서 출시한 한정판 카드 블랙로터스(Black Lotus) /출처=beckett

지난 3월 이베이 옥션에서 검은색 꽃이 그려진 카드 한 장이 우리 돈 2억 원에 낙찰됐다. 카드의 이름은 ‘블랙 로터스(Black Lotus)’. TCG(Trading card game) 장르의 원조라 불리는 ‘매직 더 게더링’에서 초창기에 출시된 한정판 카드다. 특정 카드가 수집가들 사이에서 고가를 형성하는 ‘희귀성’ 때문이다. 블랙 로터스는 1993년 당시 초기 플레이어들에게 제공된 최초의 인쇄본으로써 상징적인 의미를 갖기에 2억 원이라는 가격을 호가할 수 있었다.

최근 카드 게임 업계에서는 실물 카드에서만 존재했던 희귀성을 온라인에도 접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그렇다면 온라인상에서 유저는 내가 가진 카드가 전 세계에 단 하나뿐이라는 사실을 어떻게 믿을 수 있을까. 게임사들은 그 해답을 NFT(Non 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에서 찾고 있다.

왜 TCG인가?
NFT를 활용한 블록체인 게임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게임 업계는 TCG 장르가 NFT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분야로 보고 있다. TCG란 카드를 수집하고 자신의 패(牌)를 설정해 상대방과 승부를 겨루는 전략게임 장르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1993년에 발매된 ‘매직 더 개더링’과 블리자드에서 서비스하는 ‘하스스톤’이 있다. 블록체인 업계에선 지난해 퓨얼게임즈(Fuel Games)가 이더리움 기반의 TCG 게임 ‘Gods Unchained’를 출시했다. 한국에서는 게임빌 창업자 출신들이 만든 회사 위니플의 ‘크립토 레전드’가 정식 발매를 준비하고 있다.

TCG는 다른 장르에 비해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다. 용량도 가볍다.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은 RPG(Role playing game)는 유저에게 자유도를 보장하는 만큼 게임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복잡하다. 예를 들어 RPG에서 유저가 게임을 즐기기 위해선 무기, 갑옷, 장신구 등 수많은 장비를 하나씩 갖춰야 한다. 각각의 아이템들 또한 모두 블록체인에 올려야 한다. 반면 TCG는 핵심 재화인 카드만 블록체인으로 관리하면 된다. 비교적 간편하다. 위니플 정재훈 사업이사는 “유저 입장에서 봤을 때 TCG는 다른 장르에 비해 진입장벽이 낮아 직관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며 “블록체인 게임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지갑을 설치하는 식의 복잡한 사전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게임 자체도 어렵다면 유저는 쉽게 흥미를 잃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발사 입장에서도 특정 카드만 NFT로 만들면 되기에 관리가 수월하다는 장점도 있다”고 덧붙였다.

‘Gods Unchained’에서 판매하는 ‘신화’ 등급의 카드 /캡쳐=Fuel games 홈페이지

디지털 자산을 실물처럼 만드는 NFT
그동안 TCG 게임을 즐겼던 유저들은 제아무리 좋은 카드를 보유한다 해도 실제 ‘소유’하진 못했다. 자신의 ID에 있는 카드들은 엄밀히 말하면 게임사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데이터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 게임사들은 이 같은 문제를 NFT가 해결해줄 수 있다고 말한다. 블록체인을 활용함으로써 디지털 재화를 유저가 직접 관리할 수 있다면 온라인이라 할지라도 실제 카드를 지닌 것처럼 유저 간 거래도 가능해진다. ‘Gods Unchained’ 관계자는 “카드를 사거나, 팔거나, 불태워서 다른 아이템을 만들거나 하는 모든 행위는 전적으로 유저인 당신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ERC-721을 기반으로 하는 NFT 기술을 적용한다면 디지털 자산에 희귀성을 부여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온라인상에서도 매직 더 게더링의 ‘블랙 로터스’ 같은 카드를 제작할 수 있는 셈이다. 실제로 ‘Gods Unchained’는 NFT를 적용해 자사의 카드에 희귀성을 부여했다. ‘Gods Unchained’는 1년에 4개만 생산하는 ‘신화(Mythics)’ 카드 중 하나인 하이페리온(Hyperion)을 경매에 올렸고, 146.279 ETH에 낙찰됐다. 판매 당시 ETH 가격 기준 7천만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매직 더 게더링이 20년도 넘은 게임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Gods Unchained’가 판매한 온라인 카드의 높은 가격은 향후 블록체인 TCG에 거는 유저들의 기대가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

해당 카드의 이전 소유 이력이 남는다는 점은 블록체인 TCG만의 또 다른 흥미 요소다. 동일한 성능의 카드라 할지라도 지난 시즌 챔피언이 결승전에서 사용했던 카드라면 가격이 더욱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위니플 정재훈 이사는 “만약 프로 선수나 유명한 스트리머 같은 특정 인물이 썼던 카드일 경우 카드 자체에도 프리미엄이 붙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위니플에서 제공하는 <크립토 레전드>는 e-sports를 도입한 TCG 장르 게임이다. /제공=위니플

블록체인 TCG, E-sports와 잘 어울린다
두 블록체인 TCG 게임의 또 다른 공통점은 게임 내 경쟁 시스템을 통한 소비자 유입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점이다. 이른바 ‘e스포츠(e-sports)’ 도입이다. ‘Gods Unchained’는 지난해 프리세일(pre-Sale)을 통해 모금한 금액의 10%를 토너먼트의 상금으로 제시했다. 10일 기준 토너먼트 상금은 46만 9,423달러(5억 5,941만 원)에 달한다. ‘크립토 레전드’ 또한 카드 팩을 판매한 금액 일부를 상금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토너먼트는 별도의 중개자 없이 게임 내에서 진행되며 우승자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자동으로 상금을 받는다. 상금은 암호화폐로 지급된다.

정재훈 이사는 전략에 따라 게임의 판도가 뒤바뀌는 TCG는 공정성이 중요한 e스포츠에 최적화된 분야라고 강조했다. 일반적인 게임의 경우 돈이 많은 특정 유저가 고성능의 NFT 아이템들을 현금으로 구매한다면 게임을 독식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TCG는 개별적인 카드의 성능보다 전체적인 패를 어떻게 구성하느냐가 중요한 장르다. 카드별 상성도 존재하므로 항상 우월한 카드는 없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정 이사는 “TCG에서는 훨씬 더 좋은 카드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전략이 잘못되면 초심자에게 패배할 수 있다”며 “고성능 카드를 많이 보유한다 해도 게임의 승리를 보장해주지 않기에 형평성이 중요한 토너먼트가 쉽게 자리 잡을 수 있는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블록체인 게임 분야에서도 e스포츠 산업이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 이사는 “향후 TCG 외에도 e스포츠를 활용한 블록체인 게임들이 등장하며 또 하나의 거대한 산업으로 환영받을 가능성이 높다”며 “블록체인 게임을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선이 완화되어 한국 게임사들이 한국 시장에서 마음 놓고 서비스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조재석기자 cho@decenter.kr

조재석 기자
cho@decenter.kr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