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컨센서스 현장취재]노벨상 경제학자들이 말하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이렇다

13일 컨센시스 2019: 하버드·뉴욕·토론토대학 경제학 거물 모였다

"블록체인에 어떤 매커니즘 입히느냐가 관건"

"암호화폐, 화폐는 아니지만 돈의 정의 다시 내리게 했다"

(왼쪽부터)올리버 하트 하버드대학 교수, 데이비드 예먹 NYU교수, 에릭 매스킨 하버드대학 교수, 조슈아 간스 토론토대학 교수, 캐시 바레라 프리즘그룹 경제학자/ 사진=김연지 기자

“블록체인 기술이 주류로 편입하기 위해선 탄탄한 경제 매커니즘(mechanism)이 기술에 덧입혀져야 합니다. 매커니즘 없는 블록체인은 트랜잭션 비용을 절감하고 품질을 보장하는 정도의 기술로 남을 겁니다.”

13일(현지시간) 오전 뉴욕 맨해튼에서 진행된 블록체인 행사 ‘컨센서스 2019(Consensus 2019)’ 에서 노벨상을 수상한 경제학 교수들은 ‘디지털 골드에서 계약 이론으로: 주류 채택의 경제학(From Digital Gold to Contract Theory: The economics of Mainstream Adoption)’이라는 주제로 입을 모아 이같이 말하며 블록체인의 장·단점을 논했다.

블록체인 시장 선순환 구조,어떤 매커니즘을 어떻게 도입하냐에 따라 결정된다
매커니즘 디자인 이론을 발전시킨 공로로 지난 2007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에릭 매스킨 하버드대학교 교수는 “(블록체인) 시장이 잘 돌아가기 위해선 충분한 경쟁자와 매커니즘 디자이닝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선 시장의 힘에만 의존해선 안 되며 시장의 성격에 따른 매커니즘을 도입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는 매커니즘 디자인의 예제로 정부의 주파수 대역 매각 등 민영화 과정에서 활용됐던 ‘비커리 경매(Vickrey auction·)’ 시스템을 꼽았다. 비커리 경매란 최고가를 부른 기업이 옥션에서 낙찰되지만, 낙찰가는 차점자가 써낸 가격으로 정해지는 방식으로, 응찰자들이 과도한 경쟁심으로 지나치게 높은 가격을 써내는 폐단을 예방하면서 합리적인 낙찰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매커니즘 디자인이다.

조슈아 간스 토론토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도 매스킨 교수의 논리에 동의했다. 간스 교수는 “블록체인이 가치 있으려면 수요가 있어야 하고, 수요가 있으려면 매커니즘 디자인이 잘 짜여야 한다”며 “블록체인과 같은 신기술이 나오면 가장 먼저 따져봐야 할 것이 ‘이 기술이 기존의 것을 어떻게 최소화해주냐’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블록체인의 경우엔 인증에 들어가는 비용과 네트워킹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해 매커니즘을 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매커니즘의 종류, 수없이 많다
블록체인 매커니즘의 예제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계약 이론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지난 2016년 노벨상을 수상한 올리버 하트 하버드대학교 교수는 모든 경제 관계가 계약으로 이뤄져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계약 과정의 투명성이 잘 드러나고 상호 간 합의가 잘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인데, 계약(Commitment)은 블록체인이 가장 빛날 수 있는 요소”라고 말했다.

각기 다른 블록체인의 성격에 활용해 창의적인 매커니즘을 만들 수도 있다. 매스킨 교수는 “공개 블록체인과 비공개 블록체인은 옥션에서 활용될 수 있다”며 “옥션에서는 상대방이 나의 베팅 금액을 인지하는 것에 대해 예민하기 때문에 비공개 블록체인을 통해 베팅 금액은 숨기되, 검증이 필요한 부분은 공개 블록체인으로 구성하면 된다”고 말했다.

“암호화폐의 가치? 화폐는 확실히 아니다”
암호화폐의 등장은 돈을 다시 정의하는 계기가 됐다. 데이비드 예먹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 교수는 “암호화폐 등장으로 은행을 거치지 않더라도 가치를 교환할 수 있게 되면서 경제학자들에게 돈의 정의(Definition of Money)를 다시금 내리게 했다”며 “과연 거래를 할 때 은행을 꼭 거쳐야 하는지 등의 질문을 던진 매개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그러나 예먹 교수에 따르면 암호화폐는 화폐의 역할을 하지는 못한다. 그는 “화폐의 3대 기능은 교환의 매개와 가치의 저장수단 그리고 가치 척도”라고 밝히면서 “그러나 비트코인은 이러한 기능에서 동떨어진다”고 말했다. 특히 가치의 저장 수단에 대해 그는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가치의 저장 수단으로 인지할 수 있다면서도 “저장 수단 역할을 하기에 비트코인은 너무도 불안정하며 화폐의 가치는 몇 날 며칠이 지나더라도 안정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매스킨 교수도 암호화폐에 대해 우려스러운 목소리를 냈다. 그는 “암호화폐가 일부 사회적 기능을 저해할 수도 있다”며 “개인 간 거래가 가능하다 보니 가장 많이 이슈가 되는 분야는 은행이다. 그러나 은행에는 은행만이 가진 순기능이 있다”고 말했다. 은행은 자금 상황에 따른 대출 서비스 등 수 많은 서비스를 통해 어떤 기업이 전도유망한지 가려내는 등 은행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는 것이다. 암호화폐를 활용하면 개인 간 거래가 활성화돼 은행이 필요 없다는 주장도 일리는 있지만, 사회적 순기능을 역행해가며 생태계를 꾸리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다.
/뉴욕=김연지기자 yjk@decenter.kr

김연지 기자
yjk@decenter.kr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