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정부, 블록체인 기술로드맵 "3대 분야"로 나눠 제시

기반기술, 확장기술, 서비스기술로 구분

김종현 PM “공공 블록체인 플랫폼이 최종 로드맵”

12월 26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2019년 블록체인 사업 통합설명회’가 열렸다. / 사진=심두보 기자

내년부터 정부의 블록체인 사업은 더 확대된다. 지방자치단체, 정부기관, 연구기관 등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블록체인 전문기업과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26일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2019년 블록체인 사업 통합설명회’에서 김종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록체인·융합 PM은 “최종적으로 공공 블록체인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매년 신규 과제가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종현 PM은 기반 기술, 확장 기술, 서비스 기술 등 세 분야로 구분해 설명했다. 기술과 확장 기술의 2023년 달성목표는 공공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2022년까지 기술로드맵에 포함된 다양한 기술 과제는 공공 블록체인 플랫폼과 연관성이 높다.



기반 기술은 △분산합의 기술 △고성능 분산원장 △스마트 콘트랙트 △안전성 기술로 나뉘어 있다. 2019년부터 2년간 정부는 고신뢰 분산 합의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2021년과 2022년엔 초경량·지능형 합의기술이 목표 기술로 잡혀있다.

스마트 콘트렉트의 경우 가상머신 운영환경(2019년), 스마트계약 언어(2020년), 스마트계약 사용자 가시화(2021년), AI적용 스마트 계약(2022년) 등의 순서로 지원한다는 게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로드맵이다.

확장 기술은 △데이터연동 기술 △IoT 적용기술 △플랫폼 연동 기술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김종현 PM은 “인터넷도 표준이 확장되면서 모든 서버가 연동되어 활성화되었던 것처럼 블록체인도 연동 기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플랫폼 연동 기술을 확장 기술 중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때문에 정부는 분산원장 데이터 표준 기술은 2019년과 2020년 2년에 걸쳐 목표 기술로 보고 있다.

IoT 적용 기술의 경우 저전력 IoT 연계 및 합의 기술(2019년~2020년), 스마트계약 기반 지능형 IoT 기술(2021년~2022년)이 로드맵에 포함되어 있다.

서비스 기술은 △관리혁신 기술 △산업융합 기술 △인프라기술로 구분된다. 이 기술 분야에는 트랜잭션 검증 및 가시화 기술,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뢰성 검증 모델 및 가이드라인 등이 포함되어 있다.
/심두보기자 shim@decenter.kr

심두보 기자
shim@decenter.kr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