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비트코인 ETF 허용론 확산되지만···커스터디도, 브로커도 ‘빈칸’

공약은 쏟아지는데 인프라는 제자리

커스터디·브로커 사실상 스타트업 수준

지주사 출자제한 완화도 답보 상태

이미지투데이.


최근 여야 대선후보들이 앞다퉈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허용하겠다는 공약을 내놓고 있지만 이에 앞서 인프라부터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ETF 운용에 필수적인 커스터디(수탁), 프라임 브로커리지 등 핵심 인프라가 국내에는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금융사의 참여를 적극 유도해 시장 기반부터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커스터디·브로커 사실상 스타트업 수준




26일 업계에 따르면 가상자산 현물 ETF를 구성하려면 커스터디, 프라임 브로커리지, 유동성 공급자 등 가상자산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사업자의 역할이 필요하다. 일반 ETF와 달리 가상자산 실물을 직접 취급해야 하기에 별도 인프라가 필수다.

예를 들어 블랙록이 운용하는 ‘아이셰어즈 비트코인 트러스트(IBIT)’는 ETF 주식을 새로 만들기 위해 지정참가회사(AP)가 현금을 납입하면, 신탁이 이를 코인베이스 프라임 브로커를 통해 BTC로 전환해 매수한다. 이때 코인베이스 프라임은 자체 거래소뿐 아니라 외부의 비은행계 마켓메이커(NBMM, Non-Bank Market Maker)와 연계해 거래를 집행한다. 이들은 장외시장(OTC)이나 글로벌 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호가를 제시한다. 이렇게 확보한 BTC는 코인베이스 커스터디를 통해 신탁 자산으로 편입된다. 이처럼 가상자산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가 작동하려면 실물 자산 매매부터 보관까지 연결할 수 있는 유기적인 인프라가 갖춰져 있어야 한다.

문제는 국내는 관련 업계가 아직 영세하다는 점이다. 커스터디 기업으로는 코다(KODA), 케이닥(KDAC), 인피닛블록, 비댁스 등이 있다. 이들 기업 모두 금융권의 지분투자를 받았지만 여전히 스타트업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비트코인 현물 ETF가 실제 허용되더라도 수천억 원 이상의 자산을 안정적으로 수탁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기관투자자를 대신해 가상자산을 대규모로 매입·송금·수탁·헷지하는 중개업체인 프라임 브로커리지 영역도 마찬가지다. 웨이브릿지, 해피블록 등 몇몇 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전통 금융사와 비교하면 자본력이나 시스템 규모 모두 크게 뒤처진다. 이에 따라 다수 관련 기업들은 최근 투자 유치를 위한 기업설명회(IR)를 진행하며 몸집불리기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조성자(Market Maker)의 경우 상황은 더 어렵다. 현행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상 시세를 고정·변동시키려는 일체의 거래가 불공정거래로 간주된다. 이에 제3자가 유동성을 공급하는 마켓메이킹(MM) 행위는 사실상 금지돼 있는 실정이다.

지주사 출자제한 완화도 답보 상태


이에 업계에서는 단순히 가상자산 ETF의 허용 여부를 따지기에 앞서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부터 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2월 발표한 ‘법인의 가상자산시장 참여 로드맵’에서 금융회사의 가상자산 직접 매매·보유는 중장기적으로 검토하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대신 핀테크·블록체인 기업에 대한 다양한 투자가 가능하도록 지주회사 출자 제한 완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이 역시 아직 구체적인 입법이나 정책적 후속 조치는 나오지 않았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과 금융사가 적극적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가상자산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정구태 인피닛블록 대표는 이달 15일 ‘K-비트코인 현물 ETF 컨퍼런스’에서 “미국에서는 지난해 1월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하자마자 다음날 바로 거래소에 상장됐다”며 “이는 관련 인프라가 이미 갖춰져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반면 한국에서는 지금 정부가 가상자산 현물 ETF를 허용하더라도 실제 상품이 출시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다양한 가상자산 사업자를 육성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예리 기자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