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정부·기업·국민이 한 데 모여 블록체인 논하다

7일 강남 해시드라운지에서 ‘블록체인 즉문즉답 토크쇼’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조재석 기자

“다가올 미래는 가상현실의 세계일 것입니다. 블록체인은 현실과 가상을 연결해주는 거버넌스를 작동시켜줄 이상적인 기술이 될 수 있습니다.”

7일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해시드라운지에서 재단법인 여시재 주최로 열린 ‘블록체인 토크쇼 즉문즉답 토크쇼’에서 김서준 해시드 대표는 이같이 말했다. 이에 유재수 부산광역시 경제부시장은 “가상현실에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가 달렸다는 말에 동의한다”며 “앞으로 현실세계에 대한 소비와 투자들이 가상의 자아를 위해 활용되는 순간이 온다면 블록체인 시스템이 더욱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2시간에 걸쳐 진행된 토론은 즉문즉답이라는 형식에 맞춰 자유롭게 진행됐다. 토크쇼에는 신현성 테라 대표, 김서준 해시드 대표, 이헌재 여시재 이사장,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 유재수 부산광역시 경제부시장,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가 참여했다. 디센터에서는 참여 패널들의 주요 발언을 정리했다.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

“아직까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구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이 같은 질문은 암호화폐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사용자에게 공개되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노드를 유지함에 있어 리워드(보상체계)가 꼭 필요하므로 암호화폐와 분리하기 어렵습니다. 그 외 기업이나 공공 부문은 분리해서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쉽게 말해 블록체인은 인프라나 엔진이고, 암호화폐는 이를 활용한 서비스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인터넷과 이메일의 관계와도 비슷합니다. 이메일이 문제라고 인터넷 기술이 문제는 아닌 셈이죠.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분리해서 봐야 하는 것입니다.”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

“암호화폐는 경제사회가 캐시리스(Cashless)로 나아가는 과정과 접목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미·중 무역갈등과 더불어 무엇이 기축통화를 대체할 것인지에 대한 많은 고민이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달리 페이스북 같은 기업이 리브라를 발행하고 많은 SNS에서 이를 통용한다면 이것이 곧 기축통화의 미래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캐시리스 사회는 막연한 미래가 아니라 당장 눈앞에 닥친 현실입니다. 실제로 암호화폐가 지역화폐처럼 유통된다면 낮은 수수료를 기반으로 소상공인에게 큰 혜택을 줄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신현성 테라 대표

“블록체인이 큰 관심을 받았던 이유는 민주적인 방식 때문입니다. 그만큼 금융에서도 혁신을 불러올 수 있다고 믿습니다. 결제 분야만 해도 중개자가 너무 많습니다. 결제할 때마다 2~3%의 세금을 떼어 가는데 이를 블록체인이 해결해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선 암호화폐가 먼저 화폐 본연의 역할을 수행해야만 합니다. 여태까지 암호화폐는 화폐라기보다 주식에 가까웠습니다. 암호화폐가 화폐의 역할을 하게 되면 금융을 혁신할 수 있습니다. 그럼으로써 금융 테두리에 위치한 산업들을 하나씩 바꿔나갈 것입니다.”

유재수 부산광역시 경제부시장

“얼마 전 부산광역시가 블록체인 특구로 선정됐습니다. 그 이후로 부산이 암호화폐를 허용하는 것이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습니다. 사실 블록체인 사업의 방향성은 허가형 블록체인의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우선 부산에서는 물류, 관광 그리고 제한적인 금융 영역에서만 블록체인을 접목하고자자 합니다. 즉 기존 산업을 고도화시킨다는 측면에서 우선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될 예정입니다. 다만, 비트코인 광풍으로 인해 블록체인 산업 전반에 퍼진 부정적인 견해는 빨리 걷어내야 한다고 봅니다. 이를 위해선 신뢰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만들어 내야 합니다. 그 역할을 부산광역시가 하겠습니다.”

김서준 해시드 대표

“기술의 발전에 따른 일자리 감소. 즉, 산업 구조의 변화는 피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하지만 최근 정부의 규제 방향만을 놓고 보면 사실상 블록체인 산업에서 한국은 생산이 아닌 소비 국가로만 활동하라고 강요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우리나라가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개편하고 흐름을 선도하기 위해선 한국의 스타트업들이 다양한 기회를 가져야만 합니다. 지금처럼 한국에서 내수만을 목적으로 서비스하는 게 아니라 글로벌 경쟁에 뛰어들고 해외자본도 과감하게 투자받아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어야만 합니다. 그렇게 되면 기업들이 세금도 많이 내고,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해낼 것입니다.”
/조재석기자 cho@decenter.kr

조재석 기자
cho@decenter.kr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