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BUIDL ASIA 2019]메인넷 출시 1년 '라인의 블록체인'이 그리는 미래의 모습은?

확정성에 탈중앙화 가치 강화한 합의알고리즘 개발

'링크 미' 서비스로 사용자 환경 개선

"규제 우려 없애겠다" 컴플라이언스에도 주목

개발자 대상 서비스 '데브 콘솔'도 출시

링크체인 개발사 언체인(Unchain)의 이홍규 대표가 22일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강남에서 열린 ‘비들아시아(BUIDL ASIA) 2019’에서 발표하고 있다.

메인넷 출시 1년을 맞은 라인의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링크체인(Link Chain)’이 개발 방향을 변경하고 생태계를 확장한다.

링크체인 개발사 언체인(Unchain)의 이홍규 대표는 22일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강남에서 열린 ‘비들아시아(BUIDL ASIA) 2019’에서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 링크체인의 개발 방향성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설명했다. 지난해 링크체인은 ▲확정성(Finality) ▲확장성(Scalability) ▲사용하기 쉬운 환경(Easy to Use)에 초점을 맞춰 개발됐지만, 올해는 기존 요소인 확정성과 함께 ▲이용성(Usability) ▲법률 준수(Compliance)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다. 이 대표는 “내년에는 완전히 ‘퍼블릭’해진 링크체인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링크체인의 목표, 어떻게 바뀌었나
기존 링크체인은 확정성 확보를 위해 BFT(Byzantine Fault Tolerance, 비잔틴장애허용)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이 대표는 이 합의 알고리즘을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실용적 비잔틴장애허용)과 PoS(Proof of Stake, 지분증명)를 합친 형태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확정성은 물론 확장성, 탈중앙화까지 확보한다는 취지다. 이 대표는 “최근 많은 블록체인 플랫폼들이 탈중앙화 가치가 부족한 컨소시엄형 블록체인을 택하고, 확정성에만 초점을 맞춘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다”며 “링크체인은 탈중앙화 가치의 의미가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탈중앙화까지 잡으려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해에도 탈중앙화가 중요하다는 생각은 해왔지만, 블록체인 자체의 기술적 성숙도가 부족해 확정성에 집중했다”며 “올해는 기술력을 확보해 탈중앙화에 초점 맞춘 플랫폼을 개발 중”이라고 덧붙였다.



사용자 친화적인 블록체인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기존 목표는 유지된다. 이 대표는 “요즘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들이 ‘사용하기 편한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는데, 링크체인도 이에 공감한다”며 “링크체인 플랫폼 위에 사용자 친화적인 블록체인 서비스들이 개발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링크체인은 기존 서비스들의 인터페이스를 블록체인으로 끌어와 ‘링크 프레임워크(Link Framework)’를 구축했다. 올해는 더 나은 이용성을 위해 ‘링크 미(Link Me)’ 서비스를 선보인다. 이 대표는 “링크 미 서비스는 소셜 로그인으로 KYC(실명인증), 커스터디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현재 베타 서비스가 출시됐고 10월쯤 정식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링크체인의 지향점에 ‘법률 준수’가 추가된 것은 지난해와 다른 점이다. 이 대표는 “페이스북의 리브라 프로젝트에 미국 의회가 우려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 블록체인 업계에서 규제 관련 우려가 크다”며 “라인은 규제 우려 없이 블록체인 서비스들이 개발될 수 있게끔 할 것”이라고 말했다.

링크체인이 지향하는 미래는?
링크체인은 개발자 대상 서비스를 마련하고 탈중앙화 금융(DeFi, Decentralized Finance)을 위한 플랫폼 환경을 조성하며 네트워크를 확장할 계획이다. 또 자체 암호화폐 링크(LINK)의 생태계도 넓힐 전망이다.

링크체인은 오는 11월 라인 개발자 행사인 ‘라인 데브데이(Dev-day)’에서 개발자 대상 서비스 ‘데브 콘솔(Dev Console)’을 공개한다. 또 오픈소스 개발 데이터가 포함된 오픈 API, 멀티체인 개발 환경도 제공한다. 이 대표는 “각 프로젝트가 링크체인 플랫폼에 합류하면서도 각자 서비스 메인넷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며 “링크체인의 멀티체인인 ‘리프체인(Leaf Chain)’을 이용하면 개발자들은 앱을 만들면서 자체 거버넌스도 구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디앱(DApp)으로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들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 대표는 “금융은 블록체인의 가치와 연동할 경우 발전 가능성이 큰 분야”라며 “탈중앙화 금융에 잘 접목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이 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링크체인은 링크(LINK)가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의 수수료 등으로 쓰일 수 있게끔 할 계획이다.

아울러 링크(LINK)의 사용처도 넓힐 예정이다. 이 대표는 “기존 링크코인은 링크체인의 디앱을 쓰는 사용자들의 충성도를 확보하고, 사용자들에게 가치를 돌려주려는 목적으로 발행됐다”며 “이런 목표를 챙기면서 거래 수수료 등으로도 링크가 쓰일 수 있도록 생태계를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박현영기자 hyun@decenter.kr

박현영 기자
hyun@decenter.kr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